𝐆𝐄𝐓 𝐈𝐓 by GDG on Campus HUFS  |  
  |  
  |  
 🦉 𝑴𝒐𝒏𝒕𝒉𝒍𝒚 𝑮𝑫𝑮 𝒐𝒏 𝑪𝒂𝒎𝒑𝒖𝒔 𝑯𝑼𝑭𝑺  | What Up, GDGoC HUFS?🧐  |  
  |  
  |  
 코드 페스티벌 X GDG on Campus HUFS  |  
  |  
  |  
 중간고사가 끝난 10월 31일, 한국외대 AI교육원이 주최하고 GDG on Campus HUFS가 주관하는 코드 페스티벌이 개최되었습니다. 코드 페스티벌은 한국외대 학생이라면 누구든지 참여가 가능한 알고리즘 대회로 서울캠퍼스와 글로벌캠퍼스, 각 캠퍼스에서 동시에 진행되었습니다. 당일 대회가 어땠는지 한번 구경하러 가볼까요?  |  
  |  
  |  
 모든 수업이 끝나고 땅거미가 지기 시작한 오후 6시, 코드 페스티벌의 참가자 분들이 대회장으로 입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스태프들은 대장정을 앞둔 참가자들을 위한 식사와 부가 그려진 굿즈들을 나눠드렸고, 동시에 대회의 개회식을 진행했습니다. 개회식은 글로벌 캠퍼스에서 진행되고 서울 캠퍼스에서 생중계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참가자들에게 힘이 되는 격려의 말을 건네주셨고, GDG on Campus HUFS 오거나이저가 코드 페스티벌의 유의사항을 설명하며 대회를 시작했습니다.  |  
  |  
  |  
 대회는 참가자들의 실력에 따라 챌린저 트랙과 비기너 트랙으로 나뉘었고, 각 트랙의 문제 난이도 또한 실력에 맞게 출제되었습니다. 약 3시간이 가깝도록 참가자 분들은 자신에게 배정된 문제를 차분하게 하나씩 풀어나갔습니다. GDG on Campus HUFS 코어 팀은 심혈을 기울여 코드 페스티벌에 출제될 문제들을 몇 개월간 만들어왔는데요,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스코어보드의 점수가 올라갈수록 코어멤버들은 설명할 수 없는 쾌감과 뿌듯함을 느끼기도 했답니다.  |  
  |  
  |  
 사실 오랜 시간동안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일이 쉽지 않은데, 대부분의 참가자 분들이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풀어가는 열정을 보여주셨습니다. 제한시간이 지난 후 시상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안타깝지만 서울캠퍼스의 사정으로 인해 시상식은 글로벌캠퍼스에서 진행되고 서울캠퍼스 참가자분들은 생중계를 통해서 수상자를 확인하실 수 있었습니다.  |  
  |  
  |  
 시상식이 종료되고 2024년 코드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종료되었습니다. 코드 페스티벌에서 수상하신 분들 모두 축하드리고 참가자분들도 너무 수고 많으셨습니다! 다들 1년동안 실력을 길러서 내년 코드 페스티벌에서 뵙길 바라겠습니다😆 지금도 GDG on Campus HUFS는 이번 코드 페스티벌처럼 교내 개발자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러 행사를 계획 중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려요🎉  |  
  |  
  |  
 한국외대 경영학과 · GDG on Campus HUFS Core Member  |  
  |  
  |  
  안녕하세요😆 저는 경영학과 22학번 최유안이에요. 동시에 이번에 GDG on Campus HUFS 콘텐츠팀의 팀장을 맡고 있기도 합니다. 저는 올해 한국외대에 편입한 편입생이에요. 사실 지난 학기까지만 해도 공부도, 학교도 너무 새로워서 정신없이 보낸 것 같은데, 이젠 모든 게 슬슬 익숙해져가고 있습니다ㅎㅎ  |  
  |  
  |  
 🎙컴퓨터공학과에서 경영학과는 너무 양 극단에 있는 전공 아닌가요? 어떻게 경영학과로 들어가실 생각을 하신거죠?   |  
  |  
  |  
  약간 온탕과 냉탕같은 느낌이긴 해요. 사실 저는 전적대에서 컴퓨터공학을 무휴학으로 5년동안 다닐 정도로 꽤나 힘들게 공부를 했어요. 적성에 맞지도 않고, 개발은 재미도 없고 어렵기만 해서 거의 몇년을 어둠의 자식처럼 지냈던 것 같아요. 이론적인 과목의 성적은 항상 A를 받았는데, 코딩이 들어가는 과목은 거의 바닥을 깔아준 기억이 나요. 
 그런데, 우리 모두 취직은 해야하잖아요? 3학년 2학기때부터 많은 고민을 했죠. 난 대체 무엇을 해야 하나. 그동안 공부한 건 아깝고, 근데 개발자로 평생 살아갈 자신은 없고. 그러다가 서비스기획이라는 직무를 접하게 되었어요. IT 업계에 몸은 담되, 개발은 크게 하지 않아도 되는 직무여서 저에겐 마치 한줄기 희망 같았습니다. 연합 동아리에서 서비스기획자로 활동하면서 이쪽 분야를 더욱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컴공 다음으로 서비스 기획자와 가까운 학문은 경영학과라는 생각이 들어 막학기에 졸업작품과 졸업시험, 편입공부까지 얼레벌레 해내며 운이 좋게 경영학과로 오게 된거랍니다  |  
  |  
  |  
 🎙막상 들어보니 컴퓨터공학과가 맞지 않아 경영학과로 오신 것 같은데, 또 다시 개발자 커뮤니티인 GDG HUFS로 들어오게 된 계기가 뭔가요?  |  
  |  
  |  
   아까 소개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현재 콘텐츠팀 소속으로 있어요. 직접적인 스터디와 개발과는 동떨어져있는 코어멤버이기도 하죠. 저는 콘텐츠팀에서 활동하고 다른 개발자분들과 소통하며 저만의 영역을 구축하고 발전시키고 싶다는 생각에 GDG HUFS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전 제가 공부한 공학적 지식과 인문학적인 소양을 모두 활용하여 이를 잇는 징검다리가 되고자하는 비전을 가지고 가지고 있어요. 
 제가 아무리 개발을 힘들어했어도, 문과생분들이 교양으로 듣는 프로그래밍 과제를 도와줄 정도의 지식은 있거든요? 한참 문과 친구들의 과제를 도와주던 시절이 있었어요. 저는 코딩에서 나오는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일반인의 2배의 시간이 걸릴 정도로 이과적인 사고를 어려워했다보니 문과 친구들이 겪는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들의 눈높이에서 설명해주려고 많은 노력을 했어요. 그 때 친구들에게 많은 칭찬을 받았었죠. GDG HUFS에서 콘텐츠팀으로 활동하면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기술들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을 것이고, 충분히 저만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고 판단을 했던 것 같아요. 실제로 뉴스레터에 들어갈 콘텐츠들을 제작할 때 그렇기도 하구요.   |  
  |  
  |  
   콘텐츠팀은 GDG HUFS의 대내외적인 홍보를 진행하는 게 주 업무입니다. 인스타그램, 뉴스레터, 에브리타임, 링크드인 등을 통해서 현재 GDG HUFS가 진행하고 있는 활동을 홍보하는 거죠. 사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업무는 아무래도 뉴스레터 제작이에요. 매 달 홀수 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IT 트렌드, 개발 기술과 같은 자료들을 수집하고 아티클을 작성하는데, 생각보다 이 일이 큰 것 같아요. 자료를 찾아보며 저 또한 공부를 같이 진행을 하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글을 작성을 하는 그 과정에 시간이 많이 쓰이더라구요.  
 콘텐츠팀을 운영하면서 저의 가장 큰 목표는 교내의 많은 학생들이 전공과 무관하게 저희의 뉴스레터를 즐기고 유용하게 쓰도록 하는 거에요. 우리의 삶은 더 이상 IT기술과 떼낼레야 떼낼 수 없고 이에 대해 충분히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비전공자나 비개발자들에게는 좀 어려운 일이잖아요? GDG HUFS 의 뉴스레터를 통해 기술적인 지식에 대한 장벽이 낮아졌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  
  |  
  |  
 🎙유안님이 개발한 프로젝트 중 가장 자랑하고 싶은 게 있을까요?  |  
  |  
  |  
  음 개발보다는 기획자로 참여한 OOTD라는 프로젝트를 소개해봐도 될까요? '옷은 많은데 입을 옷이 없네?'라는 고민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였어요.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들의 사진을 찍고 어플 내에서 가상의 옷장을 구축할 수 있는 기능을 메인으로 내세웠어요. 상하의, 악세사리 등으로 카테고리를 나누고 자신의 옷을 저장하면 사용자가 좀 더 계획적으로 입을 옷을 정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했죠. 뿐만 아니라 매일마다 자신이 입은 옷을 일기 형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었는데,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 레포트를 보여주는 서비스도 같이 제공을 했었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제가 기획을 진행한 프로젝트였던 만큼 애착이 더욱 가는 것 같아요. 뿐만 아니라 제가 처음으로 PM으로 진행한 프로젝트여서 고생을 좀 했는데, 기획자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였기도 해서 더 기억에 남기도 하구요.  |  
  |  
  |  
 🎙중간고사도 끝났는데 요즘 어떻게 살고 계신가요?  |  
  |  
  |  
   중간고사가 끝나긴 한거 맞죠? 왜 시험이 끝나자마자 과제가 장마비처럼 쏟아지는지 모르겠어요. 팀플이니, 레포트니, 중간발표니 제출하라는 건 산더미여서 어떻게 보면 시험기간보다 바쁜 것 같아요. 그래도 심적으로는 여유가 있어서 짜투리 시간을 이용해서 친구들과 약속을 잡기도 하고 블로그에 글도 쓰고 있습니다ㅎㅎ  |  
  |  
  |  
 🎙 유안님의 생각해두신 진로가 있다면 뭔가요?  |  
  |  
  |  
   저는 현재 서비스기획자라는 진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 지금 준비하고 있는 과정이 올바른 길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우선 주어진 것을 최선을 다해 끝내보려고 하고 있어요. 기획자라는 직무 자체가 제너럴리스트에 가깝다 보니 생각보다 '팔방미인'이어야 하더라구요. 한동안 피그마 공부를 좀 하다가 이제는 데이터분석 공부를 해보려고 해요. 최근에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중 SQL 과목을 공부하는데 꽤 재미를 붙였어요. 그래서 방학 때는 데이터 분석 시각화나 SQL 공부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암튼 이것저것 해보고 있습니다ㅎㅎ  |  
  |  
  |  
   여러분! 제가 5년동안 컴퓨터 공학을 공부하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느낀 게 '건강'이에요. 제가 3학년 2학기에 개발 프로젝트를 3개 진행하면서 잠자는 시간 제외 모두 컴퓨터를 붙들고 살았는데, 양 손에 손목터널증후군을 얻었어요😭 스테로이드도 맞고 손목보호대도 해봤는데 이미 한번 나간 손목은 온전히 돌아오지 않더라구요. 그러니 다들 가격 부담이 있어도 인체공학마우스와 키보드를 꼭꼭 써주고 중간 중간 간단한 스트레칭과 운동도 같이 해주는 거 잊지 말아요😭  |  
  |  
  |  
 🏫 𝑮𝑫𝑮 𝒐𝒏 𝑪𝒂𝒎𝒑𝒖𝒔 𝑯𝑼𝑭𝑺 𝑺𝒑𝒆𝒄𝒊𝒂𝒍 𝑬𝒗𝒆𝒏𝒕  |  
  |  
  |  
 안녕하세요, 한국외국어대학교 응용언어학회 APPLES, GDG on Campus HUFS, 한국외국어대학교 데이터분석학회 DAT, 한국외국어대학교 딥러닝 학회 AIEYES입니다! 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역삼동 인사이트 빌딩에서 언어학과 언어공학 융합 학술 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지난 두 달 동안 네 개의 학회가 공들여 준비한 연구와 프로젝트를 통해 언어학과 공학 기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경험을 해보세요. 
  
✅장소 및 일시 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오후 2시 - 오후  6시45분 강남구 역삼동 629-1 인사이트 빌딩 지하 1층 (역삼역 도보 5분 언주역 도보 7분) 
  
✅티켓 정보타임 당 2000원 (아래 링크를 통해 구매)https://festa.io/events/6325타임테이블14:30 - 15:30 | 타임 A15:30 - 16:30 | 타임 B16:30 - 17:30 | 타임 C17:30 - 18:45 | 타임 C - 연사 초청 강연 (한국외대 언어공학연구소 초빙연구원 이호재 연사님)전시 부스 소개 
 🟢 APPLES - AI기반 독서 도우미(AI-Enhanced Reading Assistant) - 인문학과 자연어처리(Humanities & NLP Applications) - 음성 인식 감정 분석 기술(Speech & Sentiment Analysis Technology) - 스팸 탐지 및 설명 모델(Explaining Spam Detection) - 외국어 학습 분석(L2 Acquisition Analytics) - 방언학과 지역 별 언어 변이(Dialectology & Regional Language Variation) 
  
🟢 GDG on Campus HUFS - LLM4Decompiler - RAG 기반 앱 리뷰 분석 
  
🟢 한국외국어대학교 데이터분석학회 DAT - NLP Data Augmentation for Causality - 코드 스위칭 발화 교정 번역 
  
🟢 한국외국어대학교 딥러닝 학회 AIeyes(에이 아이즈) - 감성 분석을 활용한 시계열 예측 모델의 피처 확장 
  
🟢 특별 부스 - 주관 학회 소개 - 네트워킹 (질문 카드를 활용한 참여자들 간의 네트워킹) - 알고리즘 풀이 (문제 풀고 상품 수령 가능한 부스!) 
  
🟢 연사 소개: 이호재 연사님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공학연구소 초빙연구원 -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공학석사 졸업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 문학사 졸업 - 2024 EMNLP “Mentor-KD: Making Small Language Models Better Multi-step Reasoners” 저자 - 연구분야: Complex Reasoning, Efficient NLP 
  
✅기타 안내 사항 1. 참여하신 모든 분들에게 소정의 다과가 제공됩니다. 2. 연사 초청 강연은 타임C 티켓을 구매하신분들에게 대면 참여 기회를 드리며, 다른 시간대를 구매하신 분들께는 비대면 참여 링크가 공유됩니다. 
  
후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총동문회 | (사)한국외대 산학 멘토링회  |  
  |  
  |  
 🔖 𝑩𝒐𝒐𝒌 𝑹𝒆𝒄𝒐𝒎𝒎𝒆𝒏𝒅𝒂𝒕𝒊𝒐𝒏 |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  
  |  
  |  
 Do it! 5일 만에 끝내는 깃&깃허브 입문 | 그림으로 쉽게 배우고 프로젝트에 바로 써먹는다!  |  
  |  
  |  
 IT 분야 스테디셀러 『Do it! 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깃허브 입문』 전면 개정 2판! 그림으로 쉽게 배우고 프로젝트에 바로 써먹는다! 개념부터 실무까지 5일 안에 완성하는 깃 & 깃허브 입문서! 
  
 이 책은 34만 구독자가 선택한 ‘생활코딩’의 동영상 강의를 기반으로 저자가 재구성하고 내용을 보강했다. 웹 입문 분야 1위 저자의 노하우를 담아 깃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림으로 설명하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처음부터 끝까지 실습하면서 협업하는 과정을 배워 프로젝트에 바로 써먹을 수 있다. 중요한 개념과 명령만 모았으므로 깃과 깃허브를 처음 시작하는 입문자도 5일이면 기초를 완전 정복할 수 있다  |  
  |  
  |  
 Do it!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 | 한 권으로 끝내는 웹 기본 교과서  |  
  |  
  |  
 웹 분야 도서 1위! 누적 판매 부수 13만 부! ‘웹 표준의 정석’ 시리즈의 최신 개정판과 함께 웹 개발의 3대 기술을 끝낸다! 
  
웹 분야 1위 도서 『Do it! HTML+CSS+자바스크립트 웹 표준의 정석』이 전면 개정판으로 돌아왔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최신 웹 표준부터 반응형 웹, ES6+까지 초판 출간 후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변해 온 웹 개발의 기술과 트렌드를 적극 반영했다. 절반이 넘게 고치고 다시 쓰면서 지금 실무에 가장 가까운 기본서로 새롭게 태어났다. 
친절한 설명은 기본! 실습할 때 사용하는 예제 소스 파일을 모두 제공한다. 독자는 실습에서 요구하는 부분만 코딩하면 되므로 학습할 때 막힘이 없다. 또한 1번 읽더라도 마치 3번 읽은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 장치를 배치했다. 마지막으로 PDF 책 「넷플릭스 사이트 따라 만들기」를 무료로 제공해 책에서 배운 내용으로 실제 서비스와 비슷한 웹 사이트를 만들어 본다. 태그와 속성, 문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웹 치트 시트’도 부록으로 제공한다.  |  
  |  
  |  
 2024. 11. 19. (화)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성AI 온라인 세미나  [바로가기] 
2024. 11. 22. (금) |  2024 서울디자인창업포럼 [바로가기] 
2024. 11. 24. (일) |  Samsung Developer Conference Korea 2024  [바로가기] 
2024. 11. 27. (수) |  바이오, 화학, 제약 연구 AI 기술 컨퍼런스 [바로가기] 
2024. 12. 03. (화) |  Microsoft AI Transformation Week [바로가기] 
2024. 12. 04. (수) |  2024 대한민국 소프트웨어대전 [바로가기] 
2024. 12. 05. (목) |  Convergence Insight Summit 2024 [바로가기] 
2024. 12. 10. (화) |  AI Summit Seoul 2024 [바로가기]  |  
  |  
  |  
 GDG on Campus HUFS 
			newsletter@gdghufs.com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로 81 010-2132-40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