𝐆𝐄𝐓 𝐈𝐓 by GDG on Campus HUFS |
|
|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날씨가 갑자기 추워졌어요😬
3월에 감기 조심하시길 바래요~ |
|
|
< 𝐓𝐨𝐝𝐚𝐲'𝐬 𝐈𝐧𝐝𝐞𝐱 >
🧾Monthly GDG on Campus HUFS - Adieu, 가을스터디
🧾GTL Review
🧾Events Coming Up |
|
|
🦉𝑴𝒐𝒏𝒕𝒉𝒍𝒚 𝑮𝑫𝑮 𝒐𝒏 𝑪𝒂𝒎𝒑𝒖𝒔 𝑯𝑼𝑭𝑺 | What Up, GDGoC HUFS?🧐 |
|
|
GDGoC HUFS에서는 작년 가을부터 멤버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분야를 하나씩 골라 스터디를 진행했었습니다. Flutter, AI, React 등 다양한 파트에서 공부를 하며 동기부여를 얻기도 하고, 서로 질문을 하면서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GDGoC의 가치를 이루고자 했습니다.
이 스터디들이 꾸준히 이루어지기까지 각 파트의 스터디장들이 많은 기여를 해주셨는데요,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스터디장들의 소감 및 후기를 가져왔습니다! |
|
|
백엔드 스프링 부트 기초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생각보다 팀원분들이 프로젝트 경험이 많아, 오히려 제가 더 배울 수 있었던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저의 주 스택이 프론트엔드라 백엔드의 설계와 동작 방식이 궁금해 스터디를 신청했는데, 단순히 개념을 익히는 것을 넘어 실제 프로젝트 경험을 공유하며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었습니다.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부터 JWT까지 공부하면서 서로 모르는 부분에 대해 질문하고 백엔드 지식을 얻어가는 과정이 정말 즐거웠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AOP가 OOP랑 정확히 어떻게 다른가? 라는 질문이었습니다. 함께 추가적으로 찾아보고 공부했지만 명확한 답을 찾기 어려웠고, 결국 백엔드 코어 멤버분께 질문을 드려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바로바로 해결되면서 스터디가 더욱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스터디원들과 함께 고민하고 토론하면서 협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꼈고, 다양한 시각에서 백엔드를 바라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끝까지 열심히 참여해 준 팀원분들께 정말 감사드리고, 다음엔 같은 팀원으로 만나뵙고 싶습니다. 다음에 꼭 밥 한 끼 같이해요! 🍽️🚀 |
|
|
<백엔드 기초반 스터디장 - 김민우 코어멤버> |
|
|
저는 지난 GDSC시절, 그러니까 5기 시절에도 Core로 활동했습니다. 그때부터 맡아 진행했던 스터디들을 나열하자면, Spring 인프라 스터디, Spring 기초 스터디, JPA를 활용하는 Spring 중급 스터디가 기억나요. 그 중, 가장 기억에 나는 스터디는 지난 학기에 진행했던 Spring 기초 스터디인 것 같아요. 백엔드와 클라우드 인프라쪽에 관심이 많다보니 이쪽을 위주로 담당해왔구요.
사실 스터디를 진행하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다고 생각해요. 스터디가 잘 굴러가게만 하는 건, 스터디원들이 잘 참가하는지, 어려운 점이 있지는 않는지 들어주고 적절히 해결만 해 주면 한 학기 스터디는 별 특이점 없이 끝나니까요. 그런데, 좋은 스터디를 만드는 건 많이 어렵다는 것을 지난 Spring 기초 스터디에서 느꼈어요. 제가 가장 기억에 나는 스터디로 Spring 기초 스터디를 꼽았는데, 사실 스터디 운영 자체를 잘 했다거나, 열심히 하느라 힘들었다거나 하는 건 아니에요. Spring 기초 스터디가 기억에 많이 남는 이유는, 스터디에서 만난 어느 스터디원분이 말씀해주신 ‘스터디를 잘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듣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에요. 스터디에서 저 행정적인 부분(?)만 담당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다소 안일하게 생각했던 부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고, 지금 진행 중인 스터디에서 여러 개선점을 적용해보려 노력하고 있어요. 스터디원분들께는 늘 죄송하고 미안한 마음이 큽니다. 더 좋은 스터디를 진행하며 조금이라도 더 큰 도약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드리고 싶은데, 제 개인적인 사정과 일정으로 인해 스터디에 많은 시간을 쏟지 못하는 것에 대해 죄송할 따름입니다. 그래도 손이 닿는 만큼 열심히 하려고 노력하니, 불편한 점이나 마음에 들지 않는 점이 있다면 언제든 부담없이 말씀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
|
제가 지금까지 진행한 스터디는 가을 스터디로 리액트 기초반 스터디를 맡았고, 이번에 진행하는 봄 스터디에서는 백엔드 기초반 스터디를 맡을 예정입니다! 리액트 기초반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리액트의 기초적인 부분을 다시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총 4분의 스터디원 분들과 함께 했는데 다들 꾸준히 잘 참여해주셨고, 학습 노트도 빠짐없이 매주 작성해주셔서 정말 스터디를 진행하기에 수월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잘 따라와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하고 싶어요😭 이번에 진행하는 스터디는 백엔드 기초반 스터딘데, 저도 스프링을 공부해보지 않아서 같이 공부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이 스터디의 스터디장을 맡게 되었어요! 이번 봄 스터디를 통해 스프링의 기초를 잡아가는 시간을 가지고 싶어요. 이번 스터디는 총 3분의 스터디원분들과 함께하는데, 비록 아직 OT와 1주차 밖에 진행하지 않았지만, 다들 열심히 학습 노트 작성해주시는 모습을 보여주셨어요! 앞으로도 저와 함께 잘 해쳐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파이팅!!! |
|
|
제가 지금까지 진행했던 스터디는 AI 입문 스터디로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 딥러닝> 책으로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했습니다. 스터디장은 처음 맡았다보니 스스로가 너무 부족했었던 것 같아서 아쉬운 느낌이 들어요. 그래도 팀원분들이랑 함께 스터디를 진행하다보니 혼자 공부하는 것보단 이해하기도 훨씬 수월하고 동시에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많은 즐거움을 느꼈어요. 스터디원들께는 대면으로 스터디를 진행하다보니 나름 친해져서 너무 좋았고 너무 즐거웠어요. 다음에도 함께하고 싶습니다😊 |
|
|
안녕하세요 *ˊᗜˋ* 2024년 2학기 GDGoC 가을 스터디 AI 기초-A반 스터디장을 맡았던 조혜린입니다. AI에 첫 입문하고 시작한 스터디에서 스터디장을 맡아 처음엔 긴장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토대는 GDGoC 스터디팀에서 미리 준비해주셔서 전 스터디의 분위기, 진행을 중점적으로 신경쓰고 이끌어가면 되어서 부담을 덜 수 있었습니다.
제가 기본적으로 진행한 스터디의 방식은 주마다 진도를 정해두고 각자 편한 플랫폼을 이용해 내용을 정리한 후 매주 랜덤으로 발표자를 정하여 공부한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발표 후에는 서로 질문하고 아는 부분에 대해서 알려주고 내용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었습니다!
저희 스터디에서 추가적으로 신경 쓴 점은 전체 비대면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팀원들끼리 달에 한 번 대면하고 친목을 다지고자 하였습니다. 대면의 장점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같이 시간을 보내며 점점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크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월 1회는 필수적으로 오프라인으로 만나고자 했습니다. 이런 의견들을 스터디원들이 잘 받아들여주고 열심히 참여해주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 비록 처음에는 부족한 스터디장이였지만 스터디원들이 도와주어 함께 성장해나갈 수 있어 뿌듯한 한 학기를 보낼 수 있었습니다! |
|
|
제가 진행한 스터디는 웹 심화 스터디로, JavaScript의 동작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공부하고자 했습니다. 각 회차에 주제가 있는데요, 그 주제에 대해 각자 공부한 후 궁금한 점을 질의응답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스터디의 마지막에는 JavaScript와 React 라이브러리와 관련된 면접 질문을 준비하여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 중 하나는 스터디 자료를 만드는게 쉬운 일이 아니더라구요. 교수님들이 왜 자료 돌려막기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저의 여러 면접 일정으로 인해 스터디 날짜도 자주 바뀌었고, 준비가 미흡했던 경우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같이 공부한 팀원분들 모두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
|
|
February 3, 2025
GTL Weekly Session
『네이버 스토어에서 물건 팔아보기』 by 엄윤상 |
|
|
엄윤상 님의 '네이버 스토어에서 물건 팔아보기'에서는 직접 네이버 스토어에서 물건을 팔아본 경험을 토대로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실제로 30대 ~ 50대 여성분들을 대상으로 건강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들을 파는 것을 시도했으나, 실제로 잘 팔리지 못하여 그 이유를 찾고, 앞으로의 해결 방법을 모색한다고 합니다! |
|
|
February 11, 2025
GTL Weekly Session
『Happy BUDDY Day!』 by 김예지 |
|
|
김예지 님의 'Happy BUDDY Day!'에서는 한국외대에 교환학생으로 온 외국 학생들을 위한 단체인 ISO(International Student Organization)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BUDDY 프로그램에 대해 이야기해주셨습니다. 가이드 문서 대신 웹 페이지를 만들어서 보여주거나, 학생 간 매칭에서 파이썬을 이용해 수고로움을 덜어내는 활동 등, BUDDY 프로그램에서 불편한 점을 파악하여 코드를 통해 해결한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
|
|
2025. 03. 22. (토) | Ubuntu 한국어 번역 워크샵 및 정기총회 [ 바로가기]
2025. 03. 25. (화) | AI Agent로 자율 주행하는 HR의 미래 [ 바로가기]
2025. 03. 26. (수) | Microsoft AI Tour Seoul 키노트 : AI 혁신의 시대, 변화 주도하기 [ 바로가기]
2025. 03. 28. (금) | [현대자동차그룹] 개발자들을 위한 새로운 무대 Pleos 25 [ 바로가기]
2025. 03. 30. (일) | PyTorch Core Maintainer와 함께 하는 파이토치 한국 사용자 모임 컨퍼런스 [ 바로가기]
2025. 04. 04. (금) | 2024 MICT [ 바로가기]
2025. 04. 04. (금) | Brighty Automation Summit 2025 [ 바로가기]
2025. 04. 09. (수) | .HACK Conference 2025 [ 바로가기]
2025. 04. 15. (화) | Unite Seoul 2025 [ 바로가기] |
|
|
GDG on Campus HUFS
newsletter@gdghufs.com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로 81 010-2132-4096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